본문 바로가기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농어촌정책제언: 청년실업 극복과 新농어촌 부흥을 위한 "문화관광사무장" 제도 - by 문화작가(브랜드스토리텔러) 방미영

by 청문단 2012. 8. 24.

 

 

         농어촌 정책 제언:

          청년실업 극복과  新농어촌부흥을 위한                       "문화관광사무장"  제도

 

 

 

FTA로 인해 농어촌의 경쟁력 강화가 큰 화두가 되고 있지만 필자가 지역문화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브랜드스토리텔링 강의를 위해 전국 방방곡곡을 다녀 본 결과 농어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먼저 구축해야 할 것이 있다. 다름아닌 인프라 구축이다. 최근 新 농어촌부흥문화운동으로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인증을 위해  마을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농어촌의 인프라 구축은 FTA를 대처하는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임을 다시 한번 인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과거 1차산업에 의존해 오던 산업구조가 2차 3차 산업으로 탈바꿈하면서 농촌인구는 1970년 1850만 명에서 2010년 876만 명으로 40년 만에 50%에 가까운 인구 감소 현상을 보였다. 특히 노령인구가 늘어나고 영유아 인구가 현격히 줄면서 기형적인 역삼각형 농촌 인구 구조는 청년 유입을 위한 매력적인 생활 터전을 이루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와 반대로 도시는 고학력 시대로 치달으며 청년층들의 대량 실업사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국내에서 박사학위 취득 인구만 해도 무려 1만 1645명에 이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얼마전 보도에 의하면 명문대 박사 4명 중 1명은 실업자로 발표되었다. 

 

성장 축을 멈추고 뒷걸음치고 있는 도시 경제로 청년 취업층은 1인기업, 창업의 길을 선택하지만 이것도 만만치 않다. 2010년 현재 국내 1인 기업은 20만 3473개로 경제활동 인구 1%를 차지하고 있으나 1인 기업의 성공률은 극히 저조한 편으로 지속가능 브랜드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더욱이 귀농귀촌에 대한 지자체의 활발한 유입정책으로 도시민들의 탈 도시화가 유도되고 있으나 귀농 귀촌을 준비하는 세대가 정년퇴직 이후의 인구로 농사를 지어보지 않은 도시민들이 농촌에 정착하기에는 농어촌 실상도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청년 인프라와의 연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도시 청년 실업 인구를 농어촌으로 보낼 것인가?

 

 얼마전 필자는 한국관광공사와 논의하면서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농어촌 마을의  "문화관광사무장" 제도의 도입을 제언한 바 있다. 

 

 

그동안 농어촌 인프라 구축의 실패의 요인은 육체적 노동력을 제공해야만 수확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귀농귀촌을 종용해왔다. 그러나 최근 1차 산업으로 생산성을 확보하던 농어촌이 3차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을 꾀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해 본다면 육체적 노동이 아닌 문화예술산업으로 융복합 콘텐츠를 양산하는 젊은 층의 일자리 창출로 농어촌은 충분한 매력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약속의 땅이 되기에 충분하다.  

 

 다행히 없는 정책을 새롭게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지자체에서 마을별로 고용하고 있는 사무장 자리를 IT 로 재무장한 젊은이를 "문화관광 사무장" 으로 채용하여 농업관광이라는 융복합 문화를 창조하자는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로 인증된 경남 산청군 예담촌과 강원도 삼척시 장호마을, 전남 화순군 야사.영평마을, 제주시 현경면 저지리마을, 전남 곡성군 기차.가정마을 등은 한결같이 고령화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관광사무장" 제도의 도입을 통해 청결과 서비스와 편익시설 등을 갖춘 아름다운 마을 만들기로 1천만 관광시대에서 2천만, 5천만.... 관광, 그 이상의 행보로 관광대국이 본격화 되기를  희망해 본다.